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%, 70% 이하 정부 지원

728x90
반응형

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%, 70% 이하 정부 지원을 이어서 알아봐요 ~ 

우선, 2025년 기준 중위소득 50%에 해당하는 소득 금액과 받을 수 있는 정부 지원은 다음과 같은데요 ~ 

 

 

1. 중위소득 50% 기준 금액 (월 소득)

가구원 수 금액 (원)

1인 가구 1,196,007

2인 가구 1,966,329

3인 가구 2,512,677

4인 가구 3,048,887

5인 가구 3,554,096

6인 가구 4,032,403

 

2. 중위소득 50% 이하 가구 대상 주요 정부 지원 정책

* 기초생활보장 급여:

- 생계 급여: 최저 생활 유지를 위한 현금 지원

- 의료 급여: 의료비 지원

- 주거 급여: 주거비 지원

- 교육 급여: 교육비 지원

* 차상위계층 관련 지원:

- 차상위 확인: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지 확인하고, 해당 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 

- 차상위 자활 사업: 근로능력이 있는 가구의 미취업자에게 자활 공동체 참여 기회 및 자활 근로 사업 참여 기회를 제공해요 

- 차상위 장애 수당: 장애 수당 지급

- 차상위 본인 부담 경감: 의료비 감면

* 기타 지원:

- 긴급복지지원: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 발생 시 생계, 의료, 주거 등을 지원

- 서울형 안심소득: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소득 보장 제도 (별도 신청 필요)

< 2025년 중위소득 70% 기준 금액 및 정부 지원 정책 >

1. 중위소득 70% 기준 금액 (월 소득)

가구원 수 금액 (원)

1인 가구 1,674,409

2인 가구 2,752,861

3인 가구 3,517,747

4인 가구 4,268,441

5인 가구 4,975,734

6인 가구 5,645,364

 

2. 중위소득 70% 이하 가구 대상 주요 정부 지원 정책

가사·간병 방문 지원 사업:

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이 어려운 저소득층에게 가사·간병 방문 서비스를 제공

 65세 미만의 기준 중위소득 70% 이하의 중증 장애인, 6개월 이상 치료가 필요한 중증 질환자, 희귀난치성 질환자, 소년소녀가정, 조손가정, 한부모가정 등이 대상이에요 ~ 

 24시간 또는 27시간의 서비스를 바우처 형태로 지원

* 긴급복지지원:

갑작스러운 위기사유로 생계유지가 곤란한 저소득층에게 생계, 의료, 주거 등을 일시적으로 지원

질병, 실직, 화재 등 예상치 못한 위기 상황 발생 시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 ( 소득 기준은 중위소득 75% 이하 )

* 청소년 한부모 자립지원패키지:

청소년 한부모 가구의 안정적인 자립을 위해 양육비, 학업 지원, 취업 지원 

 24세 이하의 청소년 한부모 중 중위소득 72% 이하 가구가 대상

*  정부 지원 신청 방법

- 온라인 신청: '복지로' 웹사이트 (bokjiro.go.kr)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어요 

- 방문신청 : 거주지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상담 후 신청할 수 있어요 

- 전화 상담: 보건복지부 상담센터 (129)를 통해 전화 상담을 받을 수 있어요 

*  추가 정보

정부 지원 정책은 소득 기준 외에도 다양한 조건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, 자세한 내용은 관련 기관에 문의하는 것이 좋아요 

보건복지부 홈페이지: https://www.mohw.go.kr/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